2022~2025년 발전한 점
- 제품/비즈니스 이해도 향상: 단순 개발을 넘어, 제품의 본질적 문제와 고객의 니즈를 깊이 이해하고, 이를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실제로 구현하는 역량이 크게 성장함. (예: 대규모 고객 요구에 맞춘 목표 관리 시스템 개선, 분석 제품 고도화)
- 아이디어 공유 및 PoC 방식 고도화: 다양한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, Figma, FE 코드 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해 PoC를 빠르게 구현/공유하는 능력이 향상됨. 팀 내 소통과 협업에 기여. (예: TreeView, 슬랙 체크인, 대시보드 등 다양한 PoC)
- 기술적 깊이와 집요함: 성능 최적화, 인프라 비용 절감, 분석 로직 개선 등에서 기술적 깊이와 집요함이 강화됨. 통계학 등 새로운 영역 학습 의지. (예: 목표 조회 속도 30초→0.5초, AWS 비용 연간 5천만원 절감, 분석 로직 Python 포팅 및 개선)
- 코드 품질 및 리뷰 문화 개선: PR을 작게 쪼개고, 테스트 코드를 꼼꼼히 작성하는 등 코드 품질과 리뷰 효율이 높아짐. 리뷰어가 빠르게 파악/피드백할 수 있도록 배려함.
- 책임감과 리더십: 스쿼드 BE 리드로서 책임감을 갖고 팀의 공백을 메우고, 주도적으로 협업을 이끌어가는 리더십이 강화됨. 경험을 공유하고 가이드를 제시하는 역할 수행.
- 긍정적 에너지와 팀 분위기 기여: 긍정적 마인드와 커뮤니케이션으로 팀 분위기와 심리적 안전감에 기여. “하면 됩니다”와 같은 긍정 메시지로 동료들에게 신뢰와 자신감을 심어줌.
- 분석 제품 고도화 및 새로운 영역 도전: 리뷰 분석 외 1:1, 피드백, 목표 제품 분석 등 새로운 시장 가능성 탐색 및 PoC 주도. 분석 결과 시각화, 조직/회사 단위 분석 등 제품 뎁스 확장.
2022~2025년 개선이 필요한 점
- 팀과의 소통/공유 강화: 빠른 실행에 앞서 팀원과 충분히 논의/공유하는 과정이 필요함. PoC, 기능 도입 전 팀과의 공감대 형성, 사전 공유 강화. (예: 업무 시작/진행 상황 티켓화, 사전 공유 요청)
- 피드백 제공 및 성장 문화 기여: 동료에게 더 많은 피드백을 제공하고, 서로 성장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함. (예: 피드백 제공 사례 부족, 성장 문화 조성 필요)
- 문서화/기록 습관 강화: 기획, 의사결정, 작업 방향 등 문서화 습관을 강화해 협업 효율을 높여야 함. (예: PoC 중심 작업으로 기획/의사결정 문서화 미흡)
- 팀 전체 역량/속도 향상 기여: 개인의 실행력에 더해, 팀 전체의 속도와 역량을 끌어올리는 데 더 많은 기여가 필요함. (예: 팀 차원의 속도/역량 향상 고민 필요)
- 기술적 의사결정의 근거 강화: 빠른 직관/실증 테스트에 더해, 명확한 근거와 리스크 분석을 바탕으로 기술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역량 강화. 자신감 있는 의사 표현과 근거 제시가 요구됨.
- 실패 경험의 공유와 버스팩터 향상: 실패 사례(슬랙 체크인, 모바일 환경 개선 등)에서 배운 점을 팀과 공유하고, 버스팩터를 높이기 위한 기술/지식 쉐어링 필요.